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청소녀
- 쉼터
- 생존자
- 소식지
- 친족성폭력
- 성폭력피해자쉼터
- 성폭력피해자보호시설
- 친족성폭력 피해자
- 성폭력피해생존자
- 보리
- 아동성폭력
- 핑체
- 새날을 여는 쉼터
- 또우리폴짝기금
- 자립
- 열림터다이어리
- 캠프
- 쉼터퇴소자
- 국제컨퍼런스
- 붕붕
- 한국성폭력상담소
- 퇴소자
- 쉼터퇴소인
- 또우리
- 세계여성쉼터대회
- 또우리모임
- 성폭력피해자
- 폴짝기금
- 열림터
- 성폭력
- Today
- Total
목록사는 이야기/숙직 일기 (26)
열림터

저는 예전부터 식구라는 말을 좋아했어요. 가족도 아니고, 친구(라고 하기엔 나이 차이가 너무 많이 나서 사회에서 아무도 우리를 친구라고 생각하지 않고)도 아니고, 하지만 그래도 정이 든 사람들끼리 살고 있을 때.. 서로를 '식구'라고 표현하면 '오, 나 정말 알맞은 단어를 썼구나' 란 기분이 드는 것 같아요. 식구는 한 집에서 살며 끼니를 같이 하는 사람이라는 뜻이거든요. 생활을 함께 하는 사람을 표현할 때 딱 좋은 표현 아니겠어요? 아무튼 열림터 사람들은 서로의 '식구'입니다. 우리는 함께 밥을 먹는 사람들이에요. 밥은 때때로 맛있기도 하고, 때때로는 망하기도 하고, 보통은 그냥 맨날 먹는 밥 맛이죠. 그런데 몇 달 전... 저는 열림터에서 정말 너무도 굉장한 밥을 먹게 되었습니다. 이름하여 버섯탕수육..

12월의 A에 이어 2월에도 H의 합격소식이 있었다. 학원에서 1등으로 실기시험에 합격하였다는 소식을 카톡으로 빠르게 알려주었는데, 1등이라 주말 숙제가 없다며 으쓱한 표정을 짓는다. "시험 좀 합격했다고 너무 자랑하는 것 같네요^^;" 쑥스러워하며 황급히 말을 주워담아보지만 간절히 바라온 일이라 기쁨을 숨기기 어려운가보다. 자랑하면 뭐 어때요! 생활인은 활동가와 함께 자립을 위해 받을 수 있는 지원을 탐색하고 하고싶은 일을 찾아가며 주체적인 삶을 위해 발걸음을 내딛는다. 피해를 마주하며 법적절차를 밟아갈때면 숨이 차지만 그에 굴하지 않고 일상을 꾸려가려는 의지는 단단해보인다. 오늘같은 소식이 있을때면 '활동에서 어떤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 한걸음 다가간 기분이 든다. 작은 변화가 모여 ..

3년 전의 일이다. 새내기 야간 활동가였던 나에게 귀여운 막내인 그는 말했다. “샘^^. 무릎에 앉아도 되나요?” “.......아니. 잠깐만(당황)...... 그러면 나 무릎 아픈데” “안되나요? (시무룩)” “누구 무릎에 앉아본 적이 있어?” “할머니 무릎에 항상 앉았었어요.” “할머니 건강하시구나. 그렇지만 선생님은 아파. 너의 절반만한 꼬마애도 무릎이 아프던걸” “안 아프게 살짝 앉을께요.*^^*” “그럼... 정말 살살 앉아야 해.” 나의 사정을 봐줘서 최대한 무게를 줄인 그는 내 다리에 앉았었다. 그가 내 무릎에 앉아 있었던 짧은 시간은 그의 마음이 어떨지 생각하게 하는 시간이 되었다. 덕분에 내 무릎은 아직 건재해. 요즘엔 어떻게 지내니?

오후 9시, 공부시간이 되어 거실로 가자 청소년 생활인들이 모두 모여 있다. 어제 입소한 고1 생활인이 새로이 참여하면서 공부시간 멤버가 늘었다. 가장 나이가 어리지만 열림터의 핵인싸, 중3 A의 목소리가 하이톤이다. 오늘 A는 열심히 면접준비를 했던 특성화고에 합격했다. 저녁식사 시간에 엽떡과 ○○치킨으로 소박한 축하파티를 한 후라 공부시간 멤버들의 표정은 평소보다 평화롭다. 모두 각자 할 것들을 탁자 위에 올려놓는다. 공부시간이라 불리지만 공부만 하는 것은 아니다. 학습지나 개별공부 외에 책을 읽거나(웹툰 포함), 그림그리기, 색칠하기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고2 생활인은 자신이 ‘학습지의 노예’라 하면서도 공부시간마다 항상 열공한다. 누군가는 수첩에 무엇인가를 열심히 적고 있다. 예쁜 칼라펜과 스..

(이 글에 등록된 무민 이미지는 숙직으로 다크서클이 내려온 사자를 표현한 것입니다) 열림터의 주말 숙직은 가족회의가 있는 날이어서 다른 날보다는 이야기거리가 많다. 이번 주말은 좀 특별해서 열림터 생활규칙에 대해 식구들의 의견을 듣는 자리를 가졌다. 순하게 나가던 이야기가 금연 말이 나오자 브레이크가 걸린다. 그만큼 할 말이 많다는 얘기겠지. 처음부터 흡연과 거리가 먼 사람들이야 어떤 규칙이든 상관없다는 태도이지만 열림터에 오기 전부터 흡연을 하던 청소녀들에게는 갑자기 닥친 날벼락이리라. 6.7월에 연이어 들어온 두 청소녀에게 금연은 잘 되고 있는지 물었다. 도리질을 예상했는데 큰 소리로 “네”해서 깜짝 놀랐다. 아우 다행이다 싶은 순간은 단지 1초. “우리요, 서로 금연을 어기면 따귀 때리기로 했어요”..

어린이날 의의 어쩌구 어린이였을 때 부모 손에 이끌려 어린이날 무료 불소 도포 행사에 참여했다. 어린이날마다.. 나를 위한 날인데 왜 이렇게 맛도 없고 재미도 없는 일을 해야 하는걸까 항상 불만이었다. 어린이날이란 도대체 뭘까! 조금 더 시간이 지난 후, 어린이날이 아동인권을 선언하는 날로써 처음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대 받고 존중받지 못하던 ‘아이’들에게 ‘어린 이’라는 이름을 붙여 존중과 환대를 요구하는 운동이었던 어린이날은, 점차 어린이에게 선물을 주는 ‘특별한’ 하루로 변화했다. 나의 부모가 어린이날을 맞아 내 치아의 건강을 살펴준 것이 나빴다는 것은 아니다. 어린이날에 어린이에게 선물을 주는 것도 의미가 있다. (선물을 받으면 기분이 좋잖아) 하지만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어린이날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