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친족성폭력 피해자
- 또우리
- 성폭력피해자쉼터
- 성폭력피해자보호시설
- 또우리모임
- 성폭력피해생존자
- 친족성폭력
- 쉼터퇴소자
- 쉼터
- 성폭력
- 자립
- 붕붕
- 핑체
- 세계여성쉼터대회
- 아동성폭력
- 폴짝기금
- 청소녀
- 국제컨퍼런스
- 보리
- 새날을 여는 쉼터
- 또우리폴짝기금
- 캠프
- 쉼터퇴소인
- 퇴소자
- 한국성폭력상담소
- 성폭력피해자
- 생존자
- 열림터다이어리
- 열림터
- 소식지
- Today
- Total
목록열림터 식구들의 목소리/자립의 과정을 '폴짝!' (67)
열림터

2023년 4회 또우리폴짝기금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자립의 과정을 겪으며 떠오르는 경험과 변화하는 마음을 담은 또우리들의 목소리를 여러분과 공유합니다. 올해는 15명의 또우리들이 폴짝기금 프로젝트에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 아홉 번째 인터뷰는 제이입니다. 거친 한국 사회를 떠나 조금 더 따뜻한 세상에서 꿈을 좇기로 한 제이의 인터뷰를 공유합니다. 👩🌾은희: 요즘 어떻게 지내고 있어요? 🧢 제이: 이제 출국 이틀 전이고 부천에 있는 셰어하우스에서 살고 있어요. 이제 곧 캐나다로 갈 예정이에요. 한국의 대전 같은 동네예요. 다행히 직업도 구해서 가요. 👩🌾은희: 벌써 직업도 구했어요. 🧢 제이: 네. 회사에 취직을 하게 되었고, 일을 배우면서 영주권 따는 절차를 밟을 예정이에요. 그리고 한국에서 ..

2023년 4회 또우리폴짝기금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자립의 과정을 겪으며 떠오르는 경험과 변화하는 마음을 담은 또우리들의 목소리를 여러분과 공유합니다. 올해는 15명의 또우리들이 폴짝기금 프로젝트에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 여덟 번째 인터뷰는 정이입니다. 어엿한 건축가로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정이가 또우리들에게 “위축되지 말고 당당하게 살자”라는 말을 나눠주었습니다. 정이의 인터뷰를 공유합니다. 👩🌾은희: 요즘 어떻게 지내? 🏗️정이: 남자친구가 같은 동네에 살아서 퇴근 후에 만나서 같이 운동하고 데이트도 하고 있어요. 👩🌾은희: 운동도 하고 엄청 건강하게 살고 있네. 남자친구는 만난 지 얼마나 됐어? 🏗️정이: 만난 지 한 500일 정도요. 지금은 집에서 강아지랑 같이 사는데 독립할 생각을..

2023년 4회 또우리폴짝기금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자립의 과정을 겪으며 떠오르는 경험과 변화하는 마음을 담은 또우리들의 목소리를 여러분과 공유합니다. 올해는 15명의 또우리들이 폴짝기금 프로젝트에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 일곱번째 인터뷰는 만두입니다. 육아와 직장생활의 긴장속에 치열한 삶을 살고 있는 만두! 이제는 좀 내려놓고 나만을 위한 선물을 준비하는 만두의 인터뷰를 공유합니다. 👩🌾은희: 만두 안녕하세요? 만날 시간이 안 되어 줌으로 인터뷰 진행하고 있는데 소리는 잘 들리시죠! 요즘 어떻게 지내세요? 🥟만두: 진짜 너무너무 바빠요. 새벽에 다섯 시 반쯤 일어나서 아기 어린이집 가방 다 챙겨놓고 여섯 시 이십 분에 출근해요. 회사가 멀어서 도착하면 여덟 시예요. 집에서 기다릴 아기를 생각해..

2023년 4회 또우리폴짝기금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자립의 과정을 겪으며 떠오르는 경험과 변화하는 마음을 담은 또우리들의 목소리를 여러분과 공유합니다. 올해는 15명의 또우리들이 폴짝기금 프로젝트에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 여섯번째 인터뷰는 구구입니다. 안정적이지만 성취감은 적은 낡은 직장인, 퇴근 후 자신만의 삶을 멋지게 만들어 가려고 노력하는 구구! 몸과 마음을 열심히 챙기는 구구의 인터뷰를 공유합니다. 👩🌾은희: 요즘 어떻게 지내고 있어? 🕊️구구: 안부를 물으시는 것이죠? 일단 저는 이제 4년 차 직장인입니다. 매일 9시에서 6시까지 똑같이 일하고 있고요. 주말에 쉬고요. 쉬는 날은 보통 계속 해오던 운동을 꾸준히 하고 있어요. 최근에는 다시 독서가 재밌어요. 👩🌾은희: 책 읽기를 다..

2023년 4회 또우리폴짝기금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자립의 과정을 겪으며 떠오르는 경험과 변화하는 마음을 담은 또우리들의 목소리를 여러분과 공유합니다. 올해는 15명의 또우리들이 폴짝기금 프로젝트에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 5번째 인터뷰는 정은입니다. 유쾌한 정은은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하며 앞으로의 진로를 고민하고 있었어요. 자신의 분야에서 나와 같은 피해를 겪은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는 정은의 모습이 빛나 보였습니다. 폴짝기금이 작은 지지가 되길 바라요. 👩💻정은: 안녕하세요? 와, 계획서를 보니 알겠네요. 제가 열림터에 238일 동안 있었어요. 5월에 들어가서 살짝 추워질 때 나온 것 같은데요. 와, 너무 옛날이에요. 🧙수수: 진짜 오래됐네요. 2020년 때 처음 만났으니까..

2023년 4회 또우리폴짝기금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자립의 과정을 겪으며 떠오르는 경험과 변화하는 마음을 담은 또우리들의 목소리를 여러분과 공유합니다. 올해는 15명의 또우리들이 폴짝기금 프로젝트에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 네 번째 인터뷰는 온이입니다. 피해자를 돕고 싶은 마음과 야망이 넘치는 온이는 두 번째 폴짝기금도 운동에 사용하기로 결심했다고 해요. 운동을 다시 하게 되어 행복한 온이의 인터뷰를 공유합니다. 🐫낙타: 안녕하세요. 그간 어떻게 지내셨나요? 👩🎓온이: 열림터를 퇴소했을 때가 중학교 때였는데, 고등학교를 자퇴하고 검정고시를 봐서 현재 지금 대학에 다니고 있어요. 입학했는데 학교 내에서 일이 생겨서 부득이하게 자퇴는 못 하고 전과했어요. 고졸과 검정고시의 고졸은 생각보다 사회적..

2023년 4회 또우리폴짝기금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자립의 과정을 겪으며 떠오르는 경험과 변화하는 마음을 담은 또우리들의 목소리를 여러분과 공유합니다. 올해는 15명의 또우리들이 폴짝기금 프로젝트에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 세 번째 인터뷰는 보라입니다. 육아로 인해 바쁜 시기를 보낸 보라는 최근에 다시 어린이집 교사로 복귀했습니다.혼자 살아야 하니 혼자 여행해보겠다는 도전을 계획에 담아주셨어요. 보라의 인터뷰를 공유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번이 첫 번째 신청이더라고요. 그동안 어떻게 지내셨나요? 안부가 궁금해요. 🔮보라: 여기 퇴소해서 △△에서 알바하다가 거기에도 셰어하우스가 있거든요. 그래서 저렴하게 살려고 거기 들어가서 아르바이트하다가, 이제 얼마 안 돼서 그해 여름인가? 애 아빠를 만나게 ..

2023년 4회 또우리폴짝기금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자립의 과정을 겪으며 떠오르는 경험과 변화하는 마음을 담은 또우리들의 목소리를 여러분과 공유합니다. 올해는 15명의 또우리들이 폴짝기금 프로젝트에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 첫번째 인터뷰는 진주입니다. 두 번째 기금사용자 진주는 유학을 준비하다 건강의 비상신호를 감지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몸을 살피는 계획으로 빼곡하게 채워주셨어요. 진주의 인터뷰를 공유합니다. 🧙수수: 안녕하세요? 인터뷰 질문지 미리 받아보셨죠? 그동안 어떻게 지내셨는지, 안부가 궁금하다는 첫 번째 질문 드립니다. 🦪진주: 열림터에서 퇴소하고 나서 학교 졸업하고, 상담 공부하러 대학원을 갔었어요. 졸업하고 이제 다른 지역에서 상담 관련 일 하고 있어요. 그렇게 지내다가 열림터에..

2023년 4회 또우리폴짝기금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자립의 과정을 겪으며 떠오르는 경험과 변화하는 마음을 담은 또우리들의 목소리를 여러분과 공유합니다. 올해는 15명의 또우리들이 폴짝기금 프로젝트에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 첫번째 인터뷰는 에리입니다. 사회인의 모습으로 만난 에리는 현실적인 자립에 대한 솔직한 생각을 나눠주었습니다. 에리의 인터뷰를 공유합니다. 🧙수수: 저 감기 걸려서 코 훌쩍훌쩍거리는데 이해해주세요. 첫 번째 질문입니다. 에리는 어떻게 지내셨어요? 🐝에리: 미용실 일 하면서 지내고 있어요. 작년말부터 현장 실습 나가서 올해초에 정직원으로 입사했어요. 고생 많았고 현장 실습할 때도 퇴사각 재고 있었는데, 지금도 너무 힘들어요. 🧙수수: 그렇군요. 눈에 약간 생기가 없네요. 어떤 점..

열림터 생활인에게 가장 설레면서도 무서운 일이 ‘자립’인 것 같아요. 자립은 자기 삶을 스스로 계획하고 주도하는 일이라 신나죠. 하지만 어려운 일이 생기면 어떡하지? 좀 두려울 수 있죠. 휴식이 필요할 때, 갑자기 몸이 아플 때, 고민을 나누고 싶을 때, 새로운 일을 준비할 때… 너무 걱정하지 맙시다. 그럴 때는 우리가 좋아하고 신뢰하는 주변 사람들에게 기대야죠. 그리고 열림터도 자립한 또우리가 기댈 수 있는 장소였으면 합니다. 그래서, 2023년에도 을 진행합니다. 또우리폴짝기금은 열림터를 퇴소해서 자립한/자립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신청할 수 있는 기금이에요. 50만 원이라는 돈은 작은 것 같기도, 큰 것 같기도 해요. 이 돈만 있으면 모든 게 다 해결되는 건 아니에요. 하지만 50만 원의 기금을 통해 ..